4·19혁명은 독재에 맞선 시민의 깨어남이었다.
피로 쓴 민주주의는 다시 꺾이지 않도록 기억되어야 한다.
오늘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그날 거리 위의 청춘들이 지켜낸 것이다.
목차
📌 사건 일지
시기 | 사건 | 내용 |
---|---|---|
1948~1954년 | 정권 창출과 헌법 유린 | 발췌개헌, 사사오입 개헌으로 권력 연장 |
1956~1959년 | 정권 연장과 정치 탄압 | 보안법 강화와 야당‧언론 탄압 |
1960년 3월 15일 | 부정선거 감행 | 조작된 개표와 조직적 선거 부정 |
1960년 4월 11일 | 김주열 열사 시신 발견 | 최루탄이 눈에 박힌 시신, 민심 분노 촉발 |
1960년 4월 18일 | 고려대생 시위와 테러 | 학생 시위대에 청년단 폭력 행사 |
1960년 4월 19일 | 4.19 시민혁명 발발 | 전국 시민이 거리로, 경찰의 유혈 진압 |
1960년 4월 26일 | 이승만 하야 선언 | 전 국민적 분노에 굴복, 대통령직 사임 |
독재를 향한 첫 걸음
광복 직후, 혼란 속에서 탄생한 정부는 기대보다 빠르게 권위주의로 기울었다. 이승만은 제헌국회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된 뒤, 헌법 질서를 자신의 재집권을 위해 재단하기 시작했다. 1952년 ‘발췌개헌’을 통해 대통령 선출 방식을 간선제에서 직선제로 바꾸며, 유권자의 정당한 선택을 가장한 권력 강화 수순에 돌입했다.
그는 “민심을 따르겠다”라는 말을 반복했지만, 실제로는 법과 제도를 거꾸로 돌려 개인 권력을 공고히 했다. 1954년 ‘사사오입 개헌’은 그 정점이었다. 국회 의석의 3분의 2에 미치지 못했음에도 숫자를 억지로 계산해 개헌을 통과시켰다. 민주주의의 핵심인 ‘절차의 정당성’은 숫자놀음 앞에서 조롱당했다. 이 사건 이후, 헌법은 권력을 견제하는 기준이 아닌, 권력을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
침묵을 강요한 권력
이승만 정권은 표현의 자유를 허락하지 않았다. 비판적인 언론은 ‘건국 질서 방해’라는 죄목으로 탄압당했고 야당 정치인은 수시로 체포되거나 고문을 당했다. 1958년 개정된 국가보안법은 반대자를 ‘내부의 적’으로 몰기 위한 강력한 무기였다. 이 법을 통해 비판을 입막음하고, 정치적 반대 세력을 제거했다.
권력은 점점 더 좁은 범위의 사람들 안에서만 순환했고 자유당은 권력 카르텔로 기능했다. 언론은 겉으론 살아 있었지만, 사실상 자율 검열 아래 굴복했다. 당시의 신문 지면은 권력의 입장을 옮겨 적는 데 그쳤고, 국민의 목소리는 지면에 실릴 수 없었다. 비판 없는 사회, 질문 없는 정치. 그 속에서 불만은 응축되었다.
분노를 부른 부정선거
1960년 3월 15일, 대통령과 부통령 선거가 동시에 치러졌다. 이승만은 단독 출마했고, 자유당의 이기붕은 후계자 구도를 만들며 부통령에 도전했다. 이 선거는 철저히 계산되고 연출된 권력 연장극이었다. 투표 전부터 결과는 정해져 있었고, 지방마다 가짜 유권자와 유령 투표가 난무했다.
마산에서는 투표소를 미리 점거한 경찰이 투표함을 바꿔치기했고, 개표 현장에서는 야당 참관인을 내쫓았다. 시민들은 투표 조작에 분노했고, 거리 시위로 저항의 뜻을 표현했다. 그 과정에서 실종된 고등학생 김주열은 열흘 후 바다에서 싸늘한 주검으로 떠올랐다. 눈에 박힌 최루탄은 거짓을 덮으려는 권력의 폭력을 증명했다.
김주열의 시신은 마산을 넘어 전국의 청년과 시민을 일깨웠다. 공포보다 진실이 더 분노를 키웠고, 침묵은 더 이상 선택지가 아니었다.
들불처럼 번진 시민의 함성
4월 18일, 고려대 학생들이 국회의사당까지 행진해 부정선거를 규탄했다. 돌아오는 길에 ‘반공청년단’이라는 친정부 폭력 단체가 이들을 무차별 폭행했다. 피 흘리며 귀교한 학생들의 모습은 언론을 타고 전국으로 퍼졌다. 서울의 대학가와 고등학교는 급속히 동요했고, 다음 날 전국적인 시위로 확산했다.
4월 19일 아침, 중학생부터 노인까지 광장에 모였다. 손에는 플래카드와 전단지가 들렸고, 입에는 “이승만 하야”라는 구호가 터져 나왔다.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경찰에게 실탄을 지급했다. 총성이 울렸고, 젊은이들이 거리에서 쓰러졌다. 피로 얼룩진 거리 위로 앰뷸런스가 울부짖었고, 병원은 시신으로 가득 찼다.
그러나 시위대는 물러서지 않았다. 시민은 국가의 주인임을, 피를 통해서라도 증명하려 했다.
[서울기록원] 4.19 수습에 관한 결의의 건 ==> 웹사이트 바로가기
우리가 이어가야 할 유산
4월 26일, 이승만은 하야 성명을 발표했다. 그는 더 이상 민심을 다스릴 명분도, 물리력을 동원할 수단도 없었다. 한 세대의 젊은이들이 거리에서 흘린 피와 외침은 결국 정권을 무너뜨렸다. 이 사건은 정권교체를 넘어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공권력보다 국민의 힘이 더 크다는 사실을, 이 땅에서 처음으로 입증한 사건이었다. 자유는 주어진 것이 아니라, 얻어낸 것이라는 자각이 온 나라를 휘감았다. 이후 민주주의는 더디게, 때로는 후퇴하며 흘러갔지만, 그날의 정신은 시대마다 살아났다. 1987년 6월항쟁, 2016년 촛불집회 역시 4.19에서 출발한 뿌리를 갖는다.
시민의 힘은 꺾일 수 없다.
그날의 기억을 지우려는 어떤 왜곡에도, 그 정신은 계속 깨어 있을 것이다.
'시사&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령화시대, 기초연금을 조정하기 (0) | 2025.04.17 |
---|---|
이재명, 타임지의 영향력 있는 인물 100에 선정 (0) | 2025.04.17 |
이재명 중심 대선 정국, 왜 ‘압도적 정권교체’가 필요한가 (0) | 2025.04.16 |
트럼프 관세 전쟁의 진짜 피해자는 기업? 서민? (1) | 2025.04.15 |
4월 14일, 윤석열 형사재판. 첫 심문 브리핑 (0) | 2025.04.14 |